블로그 이미지
albina

이런저런 생각들

Rss feed Tistory
카테고리 없음 2024. 4. 10. 08:50

마사 너스바움 M.Nussbaum - 혐오와 수치심 (Hiding from Humanity: Disgust, Shame, and the Law)

 

마사 너스바움 - 혐오와 수치심

 

 법철학자이자 윤리학자인 마사 너스바움의 저서 ‘혐오와 수치심’은 사회 구성원들 사이를 관통하고 있는 ‘혐오’라는 감정이 본질적으로 어떻게 ‘수치심 disgrace’와 맞닿아 있는지 이야기하면서 혐오와 수치심이 법적 판단에 개입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수치심과 혐오 사이를 관통하는 상관관계에 대한 윤리적 성찰은 ‘혐오’가 지배적 감정으로 표출되는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필수불가결한 과정이 되었다.

 

    너스바움이 정의하는 혐오는 오물이나 불쾌한 것, 그리고 모두는 근본적으로 동물이라는 대한 거부감과 연관이 있는데, 이는 오물을 배출하며 살아가는 동물성에 대한 혐오로 환원된다. 많은 문화권에서 ‘혐오의 대상’으로서 투사되는 존재들은 ‘더러움’이라는 감정과 연결된다. 자신의 더러움을 인식하는 동시에 타인이 뿜어내는 불쾌함 역시도 혐오로 환원하는 것이다. 여성, 유색인종, 하위계층, 성소수자들은 여러 문화권에서 ‘성기’ 즉 오물의 배출 혹은 이미 배출된 오물로서 혐오의 대상이 된다. 그래서 너스바움은 특권계층들이 하위계층에 대한 우월적 지위를 확인하기 위해 동물성을 혐오와 결부시켜왔음을 지적하며 혐오를 통한 제노포비아가 단일 국가의 통치력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인 수단이 되었다고 진단한다. 또한 혐오와 수치심이 법적 판단에 개입하는 것은 특정 계층이나 성별, 특성에 대한 부당한 법적 제재를 용인하게 만든다. 반대로 오물로 환원되는 대상과 객체들에게는 단순한 부끄러움을 넘어선 ‘수치심’을 부여함으로써 모든 인간이 가지고 태어날 수밖에 없는 동물적 속성이 부끄러우며 사회적 체면을 깎아먹는 것이라는 인식을 갖게 만든다. 혐오가 사회를 추동하는 기능이 되었다는 윤리학적 분석은 한국 사회에서 섹슈얼리티를 침해하는 성폭력이 오랜 시간 ‘수치심’과 연관되어 사회적, 법리적 감정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과도 관련이 있다. 

 

  하지만 너스바움은 '건설적 수치심'을 언급하며 스스로에게 수치심을 느끼고 성찰하는 건설적 성격이 타인에게 수치심을 부여하는 현상과 서로 연관을 맺고 있다고 지적한다. 한편으로는 모든 인간은 사회화되면서 수치심을 느끼면서 살 수밖에 없다는 상황적 필연성에 주목하지만, 수치심으로 형벌을 주거나 낙인을 찍고, 인위적으로 법적 제재를 가하는 것은 법으로 규정된 인간의 존엄성에 영향을 미친다. 수치심은 '발현'될 수 있지만 인위적으로 부여되는 것이 아니다.

 

   수치심의 맥락적 속성은 인과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감정'에 대한 분석과도 연관이 있다. 서양철학의 역사는 이성과 감정을 서로 분리하여 이성과 합리성에 우월성을 부여해왔지만 사실 혐오와 차별, 통치성과 관련된 사회적 현상은 입증 불가능한 감정적 현상과 관련이 있다. 유아기의 행동들은 합리적 인과관계와는 거리가 멀지만 인간은 사회화되면서 수치심을 부여받아 사회인으로 성장한다. 남성들은 성장하면서 이상적인 남성성-맨박스Manbox를 수행할  것을 요구받지만 너스바움의 언급에 따르면 이 수행성은 남성성을 거부하고 싶거나 명확한 개념을 인지하지 못한 소년들에게 일정 이상의 수치심을 안긴다. ‘사회화’는 구성원들에게 수치심을 안김으로써 ‘정상적인 인간’으로 살아갈 것을 요구하면서 기능한다. 수치심은 현대를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맥락적 발현임과 동시에 정상성에 대한 요구이자, 정상 밖의 속성들을 낙인찍는 수단으로서 작용하고 있다. 그래서 너스바움의 ‘건설적 수치심’에 관한 질문은 수치심이 혐오로 환원되지 않는 사회화된 삶을 수행하는 데 있어 필요한 사회적 가치와 상호존중 윤리의 가능성과 깊은 연관이 있다.

,
TOTAL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