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albina

이런저런 생각들

Rss feed Tistory
영화 2016. 6. 17. 17:45

<활동적 삶 : 한나 아렌트의 정신>_아다 우쉬피즈





이 영화는 한나 아렌트의 다큐멘터리가 아니다. 물론 아렌트가 하이데거와 주고받은 편지들과 나치 시대 이후 아렌트의 하이데거 비판들과 말년에 아렌트가 남긴 방송 인터뷰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 소스들은 관객에게 아렌트를 이해시키기 위한 과정일 뿐이다.


물론 영화의 화자는 아렌트다. 주인공도 아렌트가 아닌 건 아니다. 하지만 아렌트는 관객에게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다. 이 영화에서 아렌트는 주인공이자 관객이다. 관객의 입장에서 영화의 주제를 서술한다. 화면은 아렌트가 바라보(았을 거라 생각되)는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영화의 '시선' 자체를 한나 아렌트가 독점하게끔 한 것이다. 감독은 아주 최소한의 역할로만 등장한다. 이야기, 시선, 말의 주인은 모두 한나 아렌트라는 한 명의 인간이다.




나는 이 지점에서 여성영화라는 수식어가 갖는 의미를 되새겨 보았다. 여성을 주인공으로 하는 영화가 여성 영화인지, 주제의식 전체를 서술하고 관통하는 '시선'이 여성에게 주어져야 여성 영화인지 생각해 보았다. 아니면 여성영화라는 수식어 자체도 젠더 이분법과 관련이 있는지. 한나 아렌트가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그녀의 목소리를 '여성 영화'라는 수식에 제한할 수 있는 건지 고민했다. 대안적 의미'에서의 여성 영화 자체의 의미를 생각했을 때 이 한나 아렌트 다큐멘터리를 '여성 영화'라고 이름붙이는 것이 'strong objectivity'의 차원에서 객관적인 결론인지 생각했다.


아렌트는 시선을 독점하기 위해, 나치 시대의 학살을 재조명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얼굴을 드러낸다. 그녀는 자신이 바라보는 세상을 촬영한 필름 위로 나레이션을 읊는다. 하이데거, 야스퍼스, 정확한 이름이 등장하지 않는 그녀의 남편에게 지금 자신이 어떤 세상을 살고 있는 누구인지 이야기한다. 시오니즘, 인종주의, 전체주의, 민족주의, 다원주의와 같은 단어들을 넘어서 자신의 생각이 어떻게 세상과 맞닿았는지 말한다. 그리고 아렌트는 엄청나게 긴 러닝타임 내내 '영화 속에서 온전히 말할 권리'를 행사한다.


아돌프 아이히만의 얼굴을 중심으로 가장 평범한 사람들의 얼굴이 계속해서 스크린을 채운다. 죽어간 사람, 죽은 사람, 희생당한 사람의 얼굴은 보이지 않는다. 대신 가장 평범하고 가장 생각 없고 즐거운 시민들이 이 영화의 주인공들이다.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 개념이 인간의 졸렬함, 악함, 잔인함이 괴물의 얼굴을 하고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하기 위해 장면 하나하나를 모두 가장 평온하고 도시적인 풍경으로만 골라잡았다. 시민들은 즐겁게 웃고 하루하루 최선을 다해 살아간다. 아이히만과 나치 군인들도 그런 인간들이었다. 그들은 최선을 다해 임무에 충실했다. 시민의 임무는 일터에서 최선을 다하며 그 중 군인들은 명령에 복종함으로써 시민의 의무를 행사한다. 아이히만은 그런 인물이었던 것이다.


영화는 이 '시민의 의무'에 사유와 성찰이 제거되어 있음을 반복해서 강조하려 한다. 즉 시민들은 사유와 성찰 없이 명령에 따르고 일상을 살아갈 수 있으며 이들의 행위는 '악'으로 귀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계속된 반복에도 남는 것은, 이 주제의식을 말하는 사람도, 이 결론을 내린 사람도, 이런 현상을 바라보는 사람도 모두 한나 아렌트 자신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이 영화는 '여성 영화'이면서 여성을 대상으로 한 다큐멘터리가 대안적 의미에서의 여성 영화의 범주에서 탈락할 가능성을 동시에 드러낸다. 여성이 주인공이라고 해서 미디어 권력 속에서 시선조차도 여성이 독점할 수 있는 기회는 희박하다.






사실 감독과의 대화에서 위에 서술한 이야기를 짧게라도 하고 싶었지만 당시 관객들은 한국에서의 여성혐오 문제를 감독과 나누려 애썼다. 이번 여성영화제는 그런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GV가 계속해서 열렸다. 여성의 불안과 공포를 예민함으로 치부할 수 없다는 때늦은 '유레카'가 여성들이 모든 상황에서 '토로'하려는 욕망을 갖게끔 만들었고 있었다. 지금 한국의 여성들은 말하고 싶어하고 한탄하고 싶어하며 일상적 여성혐오에 '분노'하고 그 화를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을 자각하고 있다. 여성도 욕망이 있는 존재라는 1990년대의 문화적 자각 이후에 두 번째다.


그래서 나는 내가 느낀 부분만 말했다. 너무 긴장해서 다 말하진 못했지만 핵심은 이랬다. 이건 한나 아렌트의 다큐멘터리가 아니었다. 오히려 내가 한나 아렌트가 되어서 한나 아렌트의 감정과 생각을 공유한 기분이었다-라고 말했다. 내 질문은 거기까지였다.

,
TOTAL TODAY